본문 바로가기
경제

물가 오를 때 돈 지키는 법, 인플레이션에 대응

by 알고싶지식 2025. 5. 10.
반응형

 

💸 인플레이션, 그냥 물가 오르는 건가요?

간단하게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인플레레이션이란?                  기준금리란?

 

2025년을 기준으로, 커피 한 잔 가격이 7,000원을 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2,000원이면 구매할 수 있었는데 말이죠...


이런 가격 상승의 중심에는 바로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단순히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라고만 알고 있다면, 아직 인플레이션의 진정한 무서움과 진실을 모르고 있는겁니다.


인플레이션은 우리 실질 소득, 소비 성향, 투자 판단, 국가 정책까지 깊게 연결되어 있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물가만 오르는게 아닌 우리가 체감하는 경기와 내 지갑 사정에 엄청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인플레이션의 정체를 파헤치고, 간단한 대응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인플레이션이란 전반적인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일시적’이 아니라 ‘지속적’이라는 점입니다. 또한 단순히 서비스나, 상품의 가격이 오르는게 아닌 실질적인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 📈 커피값만 오르면? → 커피라는 상품의 수요(유행), 재료의 수급 등의 문제일 수 있음 흔히 말하는 수요와 공급의 개념
  • 📈 전반적으로 모든 게 오른다? → 하나의 상품이 아닌 전체적인 서비스, 제품, 부동산 등 모든 분야에서 가격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의미하며, 그 만큼 화폐의 가치가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2가지 주요 원인

  1.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Demand-pull Inflation)
    • 소비자들의 수요가 폭발하면서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즉 시장이 과열 된 상태
    • 경기 호황기, 정부 재정 지출 확대, 저금리 시기에 주로 발생 →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게 되고 돈의 흐름이 활발해져 가격 상승을 유도
    • 🔍 예시: 코로나 이후 보복 소비 → 전자제품·차량 가격 폭등, 자동차의 경우 구매를 할 수 없을 정도여서 중고차가 신차 가격보다 올라가는 기현상도 발생했었음.
  2.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Cost-push Inflation)
    • 원자재, 인건비, 운송비 등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 비용이 올라가는 경우 → 제품이나 서비스 가격 상승을 유도
    • 공급망 위기나 유가 상승 등 외부 요인이 많음 → 코로나로 유통망이 봉쇄, 또는 운하의 문제 등, 유통비 상승
    • 🔍 예시: 유렵의 경우 가스 공급 차질로 가스비 급등 현상 관련 기사

 

📊 한국의 최근 인플레이션 추이 (2023~2025) 

     
연도 소비자 물가 상승률 주요 원인
2023 5.1% 유가 상승, 식품 가격 급등
2024 3.8% 기준금리 인상, 소비 둔화로 안정세 시작
2025 2.9% (전망) 금리 동결, 수요-공급 균형 회복 중
 

 

🧠 알고가세요! 

다음의 질문을 통해 얼마나 인플레이션을 이해했는지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 당신의 월급이 오르지 않아도, 인플레이션은 당신의 지갑을 조용히 털고 있다. 
    • 월급은 동결인데, 4%의 물가 상승이 있었다면, 실질적인 나의 소득은 동결이 아닌 4% 인하를 의미한다.
  • 예금 이자율이 2%일 때, 물가 상승률이 4%라면?
    • 실질 이자는 마이너스 2%이다. 따라서 예금을 통해 이자를 받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나의 돈은 2% 감소

 

📌 내일은 “디플레이션 vs 인플레이션: 어느 쪽이 더 위험할까?”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궁금한 주제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좋아요구독은 알고싶지식의 큰 힘이 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과 금리 이걸로 끝💡  (4) 2025.05.09
달러는 어떻게 기축통화가 되었나?  (0) 2023.01.03

댓글